재건축·재개발지역 특정관리 대상 주택, 평균 13년째 방치

◀ 앵커멘트 ▶
지자체에서 실시한 건물 안전점검 결과
D등급 또는 E등급을 받은 건물을 특정관리 대상 시설이라고 합니다.
서울에는 특정관리 대상 시설인 주택과 아파트가
총 150개 동 있는데, 사실상 방치되고 있습니다.
권오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의 재개발 지역입니다.
15년 넘게 재개발 사업이 표류하는 동안
빈집들이 곳곳에 늘어났습니다.
사람이 살지 않는 집들은
관리되지 않은 채 버려지면서 폐가가 됐습니다.

빈집 중에는 지난 2011년 특정관리 대상 주택으로 지정된 것도 있습니다.
건물과 담장 모두 붕괴 가능성이 높다는 판정을 받았지만
7년 가까이 철거도 개선하려는 움직임도 없습니다.

[스탠딩]
“관리시설로 지정된 지 긴 시간이 지나
 보이는 것처럼 안전을 위해 설치된 철판들이 녹슬어있습니다.
 담장을 따라 늘어선 철판들은
 오히려 시민들이 오가는 골목 쪽으로 기울어져있어 불안한 상태입니다”

주변에 사는 주민들은 안전을 걱정합니다.

[이문동 주민 박OO 씨(44세)]
“좀 무섭죠. 워낙에 재개발 지역이라고 해서 허름하고 하니까”
다른 특정관리 대상 주택의 사정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성북구 정릉동의 이 빌라는
지난 2010년 안전점걸 결과 E등급을 받았습니다.
붕괴할 수 있어 살고 있던 주민들은 떠났지만
재건축 사업이 한 차례 무산된 뒤 몇 년째 방치되고 있습니다.

[정릉동 주민 김OO 씨(68세)]
“저렇게 흉물스럽게 있으니, 주민들은 (사업이) 빨리 되는 걸 원하지”

#그래픽
서울에 위치한 특정관리 대상 주택은 총 150개 동,
이중 105개 동은 재개발과 재건축을 이유로 철거를 미루고 있습니다.
문제는 재개발과 재건축이 언제 진행될지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이 탓에 재개발과 재건축을 추진하는
특정관리 대상 주택 105개 동은
다른 35개 동보다 5년여 더 긴 평균 13년 9개월째
관리대상 목록에 올라 있습니다.
지정되고 20년이 넘은 주택도 33개동이나 됩니다.

지자체는 공공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점검과 안내판 설치 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동대문구청 담당자]
“민간시설이다 보니까. 구에서 직접적 지원을 할 수가 없어요.
 공문을 보내서 소유자한테 보수 보강을 하도록 하고…”

지자체도 건물 소유주도 책임지지 않는 특정관리 대상 주택.
안전점검결과표에는 이 주택 중 114개 동은 붕괴할 수 있고,
4개 동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적혀있습니다.

스토리 오브 서울 권오은입니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