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기본소득당은 2만 3628표를 얻어 0.4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후보 12명 중에서 5위다. 선거기간에 기본소득당은 ‘안 될 거 없잖아. 서울 기본소득’이란 슬로건을 내걸었다.

기본소득당 신지혜 상임대표는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하고 가자고 이야기하면서 선거를 쭉 준비했다”며 슬로건이나 로고송이 이런 고민의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김영길 사무총장은 “2030세대가 직접 선거를 기획하고 주도했다. 참신한 디자인 기획, 온라인 정책 페이지, 30여 개 시민단체와 간담회 등 새로운 시도를 해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당원 2만여 명 중에서 90% 정도가 2030 세대, 당직자 12명 중 30대는 5명, 20대는 6명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당원이나 당직자는 청년 문제를 당사자 문제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강하다고 한다.

신 대표는 “(당원이나 당직자가) 청년의 시각에서 고치고자 하는 것을 정치란 방법으로 선택한 사람들”이라며 “누구보다 정치적 사안에 관심이 많고, 대안을 만들려고 노력한다”고 설명했다.
 
기본소득당의 공약이나 정책이 청년만을 위한 정책으로 인식되는 것은 지양했다. 청년의 문제가 비주류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총장은 “밀레니얼 세대의 정치 세력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기본소득을 비롯한 젠더, 노동, 기후 위기, 돌봄, 주거 등 모든 문제에서 우리 세대의 감수성과 문제 인식을 주류화해 나가고자 노력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기본소득당은 4월 26일 온라인사업팀을 신설했다.

▲ 기본소득당 신지혜 상임대표(양다혜 수행팀장 제공)

정의당은 4·7 보궐선거에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김종철 전 대표의 성추행 사건 이후 당 정상화와 사태 수습을 우선했다.

하지만 청년 당원의 시선은 냉혹했다. 성추행 사건으로 다수의 청년당원이 떠났다. 정의당 류호정 의원의 ‘게임 대리 논란’ 이후 두 번째로 탈당 규모가 컸다.

정혜연 전 부대표는 청년이 경제적 기반에 따라 정치인을 결정한다고 했다. “(선거 운동 중) 경제적 문제로 정치적 활동을 포기하거나 자신이 지향했던 가치를 놓아버리는 청년이 많았다. 청년은 자기 이익을 대변해주는 정치인을 투표하기 마련이다.”

남 위원장은 "같은 의제를 놓고도 수도권·비수도권 거주 청년이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다르다. 창당준비 과정에서 일부 활동가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수도권에는 사립대가 많아 대학 등록금 문제가 자주 쟁점이 되지만, 비수도권에서는 수도권만큼 크게 부각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정의당 청년들은 그렇다고 비수도권 청년이 보편적인 청년 의제를 경시하진 않는다고 했다. 송 위원장은 "일자리 부족 현상은 수도권 청년에게만 해당되지 않는다. (비수도권인) 경남에서도 중요한 문제다. 이 문제를 지역에서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 남지은 서울시당위원장(남지은 위원장 제공)

정의당 청년 당원들은 다음 대선과 총선을 대비해 4월 21일 청년정의당을 창당했다. 청년 스스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의제를 발굴하는 공간을 만들려는 의도에서다. 삶의 문제를 실시간으로 논의하는 ‘온라인·플랫폼 정당’으로 만들 계획이다.

송 위원장은 청년이 직접 토론하고 의제를 내는 청년 정책학교를 설립하겠다고 말했다. 남 위원장은 동영상 플랫폼을 청년과의 소통 창구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 전 부대표는 청년 문제뿐만 아니라 노인 문제에도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의당은 의제를 기성세대와 청년세대로 구분하기보다 불평등이라는 접점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청년정의당이 앞으로 이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